Browse Wiki & Semantic Web

Jump to: navigation, search
Http://dbpedia.org/resource/Jeongeupsa
  This page has no properties.
hide properties that link here 
  No properties link to this page.
 
http://dbpedia.org/resource/Jeongeupsa
http://dbpedia.org/ontology/abstract 정읍사(井邑詞)는 지금까지 남아 전해지는 유일한 백제의 노래이다. 한글로 기정읍사(井邑詞)는 지금까지 남아 전해지는 유일한 백제의 노래이다.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노래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 구백제(舊百濟)에 유행하던 민간노래인 듯하며, 고려·조선 때 궁중음악으로 쓰였다. 《고려사》 악지(樂志)에, "정읍(井邑)은 전주의 속현인데 그 현인이 행상을 나가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으매 그 아내가 근처 바위에 올라 바라보며 남편이 밤에 다니다가 해를 입을까 함을 이수(泥水)에 탁(托)하여 노래하였다 하는 바, 세상에 전하기는 등점망부석이 있다"고 기록되어 남편을 기다리는 행상의 아내가 부른 노래라 한다. 《악학궤범》에 이 노래의 가사가 실려 있어 그 원형은 알 수 없어도 소박한 표현 속에 면면한 향토적인 서정과 여심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소박한 표현 속에 면면한 향토적인 서정과 여심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Jeongeupsa (Hangul: 정읍사, Hanja: 井邑詞, lit. Jeongeupsa (Hangul: 정읍사, Hanja: 井邑詞, lit. "The Song of Jeongeup") is the only surviving (가요) song from the Baekje kingdom. Jeongeupsa is the oldest song recorded in Hangul, and is thought to be a popular folk song originating sometime after the rule of King Gyeongdeok of Silla. It was later used as court music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ic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ID 71612765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Length 5113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RevisionID 1109080731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WikiLink http://dbpedia.org/resource/Seonunsan + , http://dbpedia.org/resource/List_of_townships_in_South_Korea + , http://dbpedia.org/resource/Gayo_%28poem%29 + , http://dbpedia.org/resource/Korean_folk_song + , http://dbpedia.org/resource/Joseon + , http://dbpedia.org/resource/Goryeosa + , http://dbpedia.org/resource/Changsha + , http://dbpedia.org/resource/Akhak_gwebeom + , http://dbpedia.org/resource/Gochang_County + , http://dbpedia.org/resource/South_Jeolla_Province + ,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Korean_traditional_music + , http://dbpedia.org/resource/Goryeo + , http://dbpedia.org/resource/Gyeongdeok_of_Silla + , http://dbpedia.org/resource/Mong_Fu_Shek + , http://dbpedia.org/resource/Baekje + ,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Culture_in_Baekje + , http://dbpedia.org/resource/Court_music_of_Korea + , http://dbpedia.org/resource/Hangul +
http://dbpedia.org/property/mr Chŏngŭpsa
http://dbpedia.org/property/rr Jeong'eupsa
http://dbpedia.org/property/wikiPageUsesTemplate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Lit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Infobox_Korean_name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Quote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Hanja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Authoritycontrol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Short_description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Reflist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Italictitle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Linktext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Hangul +
http://purl.org/dc/terms/subject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Culture_in_Baekje + ,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Korean_traditional_music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http://en.wikipedia.org/wiki/Jeongeupsa?oldid=1109080731&ns=0 +
http://xmlns.com/foaf/0.1/isPrimaryTopicOf http://en.wikipedia.org/wiki/Jeongeupsa +
owl:sameAs http://dbpedia.org/resource/Jeongeupsa + , http://ko.dbpedia.org/resource/%EC%A0%95%EC%9D%8D%EC%82%AC + , https://global.dbpedia.org/id/JEiN + , http://www.wikidata.org/entity/Q12615910 +
rdfs:comment 정읍사(井邑詞)는 지금까지 남아 전해지는 유일한 백제의 노래이다. 한글로 기정읍사(井邑詞)는 지금까지 남아 전해지는 유일한 백제의 노래이다.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노래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 구백제(舊百濟)에 유행하던 민간노래인 듯하며, 고려·조선 때 궁중음악으로 쓰였다. 《고려사》 악지(樂志)에, "정읍(井邑)은 전주의 속현인데 그 현인이 행상을 나가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으매 그 아내가 근처 바위에 올라 바라보며 남편이 밤에 다니다가 해를 입을까 함을 이수(泥水)에 탁(托)하여 노래하였다 하는 바, 세상에 전하기는 등점망부석이 있다"고 기록되어 남편을 기다리는 행상의 아내가 부른 노래라 한다. 《악학궤범》에 이 노래의 가사가 실려 있어 그 원형은 알 수 없어도 소박한 표현 속에 면면한 향토적인 서정과 여심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소박한 표현 속에 면면한 향토적인 서정과 여심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 Jeongeupsa (Hangul: 정읍사, Hanja: 井邑詞, lit. Jeongeupsa (Hangul: 정읍사, Hanja: 井邑詞, lit. "The Song of Jeongeup") is the only surviving (가요) song from the Baekje kingdom. Jeongeupsa is the oldest song recorded in Hangul, and is thought to be a popular folk song originating sometime after the rule of King Gyeongdeok of Silla. It was later used as court music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ic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rdfs:label Jeongeupsa , 정읍사
hide properties that link here 
http://dbpedia.org/resource/Mugo + , http://dbpedia.org/resource/Hwang_Byungki + , http://dbpedia.org/resource/Music_of_Korea + , http://dbpedia.org/resource/The_King%27s_Daughter%2C_Soo_Baek-hyang + , http://dbpedia.org/resource/Forestella + , http://dbpedia.org/resource/Jeongupsa +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WikiLink
http://dbpedia.org/resource/The_King%27s_Daughter%2C_Soo_Baek-hyang + http://dbpedia.org/property/title
http://en.wikipedia.org/wiki/Jeongeupsa + http://xmlns.com/foaf/0.1/primaryTopic
http://dbpedia.org/resource/Jeongeupsa + owl:sameAs
 

 

Enter the name of the page to start semantic browsing fr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