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Wiki & Semantic Web

Jump to: navigation, search
Http://dbpedia.org/resource/Garot
  This page has no properties.
hide properties that link here 
  No properties link to this page.
 
http://dbpedia.org/resource/Garot
http://dbpedia.org/ontology/abstract 갈옷은 감물 염색을 한 고동색의 제주도 전통 의상으로, 주로 노동복으로 사용갈옷은 감물 염색을 한 고동색의 제주도 전통 의상으로, 주로 노동복으로 사용되었다. 갈옷은 입으면 시원하고 땀이 나도 몸에 달라붙지가 않고 땀이 묻은 옷을 그냥 두어도 썩거나 냄새가 나지 않았고, 옷 염색으로 사용된 감은 제주도에서 구하기 쉬운 열매였기 때문에 노동복과 일상복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갈옷을 언제부터 입게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인 기록물이나 유물들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감물을 이용한 염색은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행해졌다는 문헌 기록이 남아있고, 제주도에서는 이들의 국가와 국제 무역을 했다는 문헌 기록이 있다. 고려 시대부터는 제주도가 지방 체계에 포함되고, 충렬왕 3년부터 100여년간 원나라가 제주도를 점거하게 되는 데 이 때 제주도 복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갈옷의 종류에는 남자는 갈적삼과 갈중이가 있으며, 여자는 갈적삼과 갈굴중이가 있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도 제주의 주민들은 갈옷을 많이 입었으나 1970년대부터 복장이 현대화 되면서 갈옷 착용이 점차 줄어들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으로 인해 외출복뿐만 아니라 침구류와 생활용품, 실내 장식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인해 외출복뿐만 아니라 침구류와 생활용품, 실내 장식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 Garot or galjungi is a variety of hanbok, Garot or galjungi is a variety of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hich has been worn by locals of Jeju Island in Korea as a working clothes and everyday dress. Although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on its origin, it is known that Jeju farmers and fishermen have worn it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a research on Jeju traditional tools, about 700 years ago Jeju people used fishing lines which were dyed by unripe persimmons., because it was much stronger than undyed one. They might have come up with the idea that persimmon dying could make cotton stronger, so they might have started to dye it. Gal (갈) comes from gam (감) which means persimmon in Korean, and ot (옷) means clothes in Korean. Therefore, garot refers to clothes dyed by persimmons, especially unripe persimmons. persimmons, especially unripe persimmons.
http://dbpedia.org/ontology/thumbnail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rea-Jeju-Museum-02.jpg?width=300 +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ExternalLink http://www.korea.net/kois/magazine/pictorialKoreaView.asp%3FHtml_no=154 +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ID 18445218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Length 4747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RevisionID 1035722505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WikiLink http://dbpedia.org/resource/Clothing + , http://dbpedia.org/resource/Jeju-do + , http://dbpedia.org/resource/Korean_language + ,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Korean_clothing + , http://dbpedia.org/resource/Persimmon + , http://dbpedia.org/resource/Hanbok + , http://dbpedia.org/resource/Korea + , http://dbpedia.org/resource/Jeju_Island + , http://dbpedia.org/resource/Culture_of_Korea + ,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Jeju_Province + , http://dbpedia.org/resource/Dyeing +
http://dbpedia.org/property/hangul 갈옷 / 갈중이
http://dbpedia.org/property/hanja none
http://dbpedia.org/property/img Korea-Jeju-Museum-02.jpg
http://dbpedia.org/property/mr karot /kalchungi
http://dbpedia.org/property/rr garot / galjungi
http://dbpedia.org/property/wikiPageUsesTemplate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Reflist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Commons_category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Infobox_Korean_name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Cite_web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For + , http://dbpedia.org/resource/Template:Distinguish +
http://purl.org/dc/terms/subject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Korean_clothing + , http://dbpedia.org/resource/Category:Jeju_Province +
http://purl.org/linguistics/gold/hypernym http://dbpedia.org/resource/Variety +
http://www.w3.org/ns/prov#wasDerivedFrom http://en.wikipedia.org/wiki/Garot?oldid=1035722505&ns=0 +
http://xmlns.com/foaf/0.1/depiction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rea-Jeju-Museum-04.jpg +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rea-Jeju-Museum-02.jpg +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rea-Jeju-Museum-05.jpg +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rea-Hanbok-Galot-01.jpg + , http://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rea-Jeju-Museum-03.jpg +
http://xmlns.com/foaf/0.1/isPrimaryTopicOf http://en.wikipedia.org/wiki/Garot +
owl:differentFrom http://dbpedia.org/resource/Garrote +
owl:sameAs http://dbpedia.org/resource/Garot + , https://global.dbpedia.org/id/HjJt + , http://rdf.freebase.com/ns/m.04f13g6 + , http://ko.dbpedia.org/resource/%EA%B0%88%EC%98%B7 + , http://www.wikidata.org/entity/Q12582611 +
rdf:type http://dbpedia.org/class/yago/Name106333653 + , http://dbpedia.org/ontology/Grape + , http://dbpedia.org/class/yago/Abstraction100002137 + , http://dbpedia.org/class/yago/LanguageUnit106284225 + , http://dbpedia.org/class/yago/Relation100031921 + , http://dbpedia.org/class/yago/Part113809207 +
rdfs:comment 갈옷은 감물 염색을 한 고동색의 제주도 전통 의상으로, 주로 노동복으로 사용갈옷은 감물 염색을 한 고동색의 제주도 전통 의상으로, 주로 노동복으로 사용되었다. 갈옷은 입으면 시원하고 땀이 나도 몸에 달라붙지가 않고 땀이 묻은 옷을 그냥 두어도 썩거나 냄새가 나지 않았고, 옷 염색으로 사용된 감은 제주도에서 구하기 쉬운 열매였기 때문에 노동복과 일상복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갈옷을 언제부터 입게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인 기록물이나 유물들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감물을 이용한 염색은 예로부터 한국,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행해졌다는 문헌 기록이 남아있고, 제주도에서는 이들의 국가와 국제 무역을 했다는 문헌 기록이 있다. 고려 시대부터는 제주도가 지방 체계에 포함되고, 충렬왕 3년부터 100여년간 원나라가 제주도를 점거하게 되는 데 이 때 제주도 복식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갈옷의 종류에는 남자는 갈적삼과 갈중이가 있으며, 여자는 갈적삼과 갈굴중이가 있다. 1950년대에서 1960년대까지도 제주의 주민들은 갈옷을 많이 입었으나 1970년대부터 복장이 현대화 되면서 갈옷 착용이 점차 줄어들었다. 또한 다양한 디자인으로 인해 외출복뿐만 아니라 침구류와 생활용품, 실내 장식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인해 외출복뿐만 아니라 침구류와 생활용품, 실내 장식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 Garot or galjungi is a variety of hanbok, Garot or galjungi is a variety of hanbok,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hich has been worn by locals of Jeju Island in Korea as a working clothes and everyday dress. Although there is no historical record on its origin, it is known that Jeju farmers and fishermen have worn it for a long time. According to a research on Jeju traditional tools, about 700 years ago Jeju people used fishing lines which were dyed by unripe persimmons., because it was much stronger than undyed one. They might have come up with the idea that persimmon dying could make cotton stronger, so they might have started to dye it. Gal (갈) comes from gam (감) which means persimmon in Korean, and ot (옷) means clothes in Korean. Therefore, garot refers to clothes dyed by persimmons, especially unripe persimmons. persimmons, especially unripe persimmons.
rdfs:label Garot , 갈옷
hide properties that link here 
http://dbpedia.org/resource/Jeju_Gal-ot +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Redirects
http://dbpedia.org/resource/List_of_Korean_clothing + , http://dbpedia.org/resource/Index_of_fashion_articles + , http://dbpedia.org/resource/Jeju_Gal-ot + , http://dbpedia.org/resource/Galot + http://dbpedia.org/ontology/wikiPageWikiLink
http://en.wikipedia.org/wiki/Garot + http://xmlns.com/foaf/0.1/primaryTopic
http://dbpedia.org/resource/Garot + owl:sameAs
 

 

Enter the name of the page to start semantic browsing from.